위 그래프를 보면 전문성과 보상의 관계를 알 수 있다.
노력을 투입해서 초반에 열심히 공부하면 전문성이 빨리 올라가고 그리고 어느 순간 포화가 된다.
그때는 노력을 해도 아주 미세하게 올라가게 된다.
명품을 보면 일반 제품과 기능과 역할은 같지만 더나은 조금의 변화를 시켜서 고가의 가치를 만들어 낸다.
전문성이 포화되는 시점이 보상이 올라가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상위 1%가 되보는 거다.
비슷한 학점 비슷한 실력이었지만 운이 좋아서 누구는 대기업가고 누구는 중소기업으로 간다.
하지만 시작은 정말 작은 차이였다.
이런 세상에 불평 불만보다는 나의 전문성을 키우는게 정말 중요하다.
전문성을 키운다는거는?
1. 배우면 된다. (책과 강의)
고등학생과 2년 전문대학을 나온 사람과 비교하면 2년 전문대학에서 공부한 사람의 전문성이 더 높다.
4년제 전공을 하면 더 많은 전문성이 생긴거다.
하지만 졸업하고 회사에서 수동적으로 배워서는 전문가가 되기 어렵다. 80%가 여기서 머문다.
그 이유는,
독학을 안해보고 뭔가를 돈주고 배워야되고 어딘가에 길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생각보다 기초적인 전문성은 나와있는 교재로 배울 수 있다. 그럼 상위 20% 이다.
똑같은 분야의 책만 읽으면 안되고 다양하게 읽어야 한다.
이해가 안되는 여러가지 책.
2. 다른 분야와의 접합이 필요하다. (내 기술과 접목되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 => 폴리메스
여기까지 전문성을 만들었다면 상위 10%이다.
예)마케팅 - 디자인, 코딩, 구글
3. 전문가와의 대화
내가 몰랐던 부분과 내가 보지 못한 시야를 넓힌다. 단순히 듣기만 하는것이 아니라 교류할 수 있어야 한다.
전문가는 현장에서 벌어지는 책에서 배울 수 없는 것들을 알수있다.
전문가를 찾아서 만나려고 노력해라.
4. 스스로 연구
자기만의 이론과 시스템을 확립하는 분이 결과를 낸다.
앞의 모든 과정을 소화시키는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여기에서 성과를 만들어내면 이 모든 과정을 담은 책을 낼 수 있다.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라는 말이 요즘 정말 피부로 느껴진다.
내 마음에 '저 사람은 가능하지만 나는 안돼'가 깔려있으면 실행을 안할것이고 결과도 당연히 만들 수 없다.
내가 이 분야에 전문가가 되겠다라는 생각을 했다면 가능할까? 불가능할까? 생각하기 전에 일단 실행에 옮기면 된다.
지금은 정보가 널려있기 때문에 전문성을 갖는게 어렵지 않다.
단, 실행력의 차이다.
월 천만원 파이프 라인 만들기 도전!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사람의 10가지 특징 (1) | 2022.09.13 |
---|---|
신체 나이 10년 젊어지게 하는 법 (1) | 2022.09.11 |
푸어라이크(feat.파이어족) (1) | 2022.09.06 |
행복한 엄마가 아이의 인생을 좌우한다 (0) | 2022.09.02 |
말레이시아 일상 및 맛집 소개 (0) | 2022.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