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을 타고 우연히 보게 된 영상이 너무 도움이 되어 공유하고 싶어서 글을 남긴다.
막연하게 알고 있었던 내용이 명확해진 순간이었다.
코로나 걸리고 나서 기분탓인지 노화가 더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기분이다.
피부 탄력 주름 등등......ㅠㅠ
나이를 먹으며 점점 더 늘어나는 살들과 노화현상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다.
똑 같은 양을 먹어도 살이 빠지고 노벨상까지 받은 내 몸이 젊어지는 방법!
우리 몸은 60조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포들이 젊어지면 우리의 몸은 젋어집니다.
반대로 세포들이 노화되면 우리의 몸도 노화됩니다.
2016년 일본 요시노리 교수는 오토파지로 노벨 생물학상을 받았습니다.
오토파지는 자신을 뜻하는 Auto와 먹다라는 뜻의 Phagy가 항성된 말로 우리말로 스스로를 먹는다 즉 자가포식이라고 하며 우리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신비한 현상입니다.
오토파지는 노화된 세포가 스스로를 먹고 그것을 재활용해서 다시 젊고 건강한 세포로 재탄생되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인 세포는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노화된 세포는 제거되고 세포분열을 통해서 그 자리를 채우서 우리의 몸을 젊고 건강한 상태로 유지합니다.
우리의 세포는 세포분열의 숫자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정해진 세포분열 숫자를 다 쓰면 더 이상 세포분열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그러면 기능이 저하된 노화된 세포를 계속 사용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것을 노화된다 즉 늙는다라고 표현합니다.
장기들을 구성하는 세포의 기능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며 장기들의 기능이 떨어지고 여러가지 질병이 발생합니다. 피부도 탄력을 읽고 주름이 생기며 노화된 모습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오토파지가 활성화 되면 노화된 세포가 세포분열을 통해서 다시 젊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세포내의 찌꺼기를 재활용해서 그 에너지로 다시 젊고 건강한 세포로 되돌아 가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세포분열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젊은 사람들은 이 세포분열의 횟수를 절약할 수 있어서 젊음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고 노화가 진행된 분들은 노화된 세포들이 건강한 세포로 바뀜으로써 노화를 늦출 수 있습니다.
한살이라도 젊은 세포를 유지하는데 힘써야 겠군!ㅎㅎ
이 젊음을 유지하는 비법 오토파지를 활성하는 방법 중 쉽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간헐적 단식입니다.
하루 중 일정 시간 공복생태를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일정시간 동안 세포내 영양이 공급되지 않으면 세포들은 위급 상황이라고 인식하고 노폐물들을 에너지로 바꿔 사용하려고 하며 이때 오토파지가 활성화됩니다.
간헐적 단식은 오토파지 뿐만 아니라 체중의 감소 혈당조절 면역력 증가 염증 감소등 여러 연구들에서 좋은 결과들이 있다.
같은 양의 음식을 먹은 쥐중에 간헐적 단식을 한 쥐가 체중이 덜 나가고 혈당조절이 잘 되고 기억력도 더 높았습니다.
간헐적 단식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처음하시는 분들은 16:8 단식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12시 첫식사를 시작한다면 8시까지만 식사를 하고 16시간 공복상태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하루에 16시간 공복 상태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때 물 외에는 드시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좀더 강한 효과를 얻고 싶으신 분들은 18:6 단식 또는 1일 1식을 하면 됩니다.
오토파지 이 방법은 먹는 양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식사시간을 제한하는 방법입니다.
불필요하게 먹던 시간을 줄이고 몸에 공복 상태를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나치게 먹는 양이 줄어 영양분이 부족할경우 몸은 기아상태로 들어갑니다.
그렇게 되면 오토파지가 활성화되지 않고 세포사멸이 일어납니다.
이때 근육 손실, 내장 기능 저하, 기초 대사량의 감소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건강한 음식으로 영양분을 잘 공급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과 의사가 뽑은 가성비 시술 (0) | 2022.09.16 |
---|---|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사람의 10가지 특징 (1) | 2022.09.13 |
상위 1%가 되는 법 (1) | 2022.09.09 |
푸어라이크(feat.파이어족) (1) | 2022.09.06 |
행복한 엄마가 아이의 인생을 좌우한다 (0) | 202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