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투자, 덥석 받지 마라(feat.성공자 인터뷰)
<링글에 이승훈 대표>
필요 이상의 자금을 투자받지 마라
첫 투자 제의를 너무 빨리 수락하지 마라
충분한 시간을 갖고 결정 해라
<스푼라디오 최혁재 대표>
입금되기 전까지 믿지 마라
<바이셀스탠다드 신범준 대표>
개발에 오랜 시간 쏟지 마라
<자이넵스 주동원 대표>
시장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마라
확신이 없으면 투자받지 마라
<에이팀벤쳐스 고산 대표>
의리로 모든 직원을 끌고 가려고 하지 마라
<마켓컬리 김슬아 대표>
불편함을 그냥 넘기지 마라
단기 성과에 조급하지 마라
책<마지막 몰입>으로 유명한 작가 짐 퀵은 To do(할것) 보다 Not to Do(하지 말 것)를 정해서 지키는 것이 삶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한다.
스타트업 창업과 경영도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먼저 찾는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 말아야 할 실수 때문에 시행착오를 겪거나 회사 자체가 무너지는 일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산전수전은 물론 공중전까지 겪은 스타트업 대표 10명을 인터뷰해 '이것만은 하지 마라'를 물었다.
많은 자금을 아무에게나 받지 마라
사업 초기 필요 이상의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이 하는 대표적인 실수가 대규모 채용, 마케팅 예산 급증, 사무실 확장 이전 등이다. 이승훈 대표는 6개월 내 망하지 않는 수준의 현금을 보유하는게 적정하다며 돈이 많아지면 머리를 쓰지 않고 돈을 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법인 계좌로 투자금이 입금되기 전까지는 믿지 마라
최혁재 대표는 호의적인 기업설명회 미팅을 한두 번 하게 되면 많은 창업자가 투자받을 것이라고 착각한다며 구두로 투자 결정이 나더라도 확신하면 안된다고 했다. 여러 서류 작업이나 프로세스를 거치면서 결정이 뒤집어지는 일도 적지 않다.
개발에 너무 오래 집착하지 마라
제품, 서비스 시장 적합성을 빨리 검증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얘기다. 최소 기능 제품을 빠른 시간 안에 구현해 창업자가 생각한 사업의 가설을 시장에 던져 놓으라고 했다. 신범준 대표는 사업모델이 좋으면 개발 수준이 당장 조금 떨어지더라도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확장성 없는 일을 소홀히 하지 마라
제품을 고도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단발적이거나 인력과 시간을 많이 소모하는 관리 유지 업무를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는 뜻이다. 홍보와 고객 서비스 업무를 소홀히 하는 경향도 있다고 했다. 신재명 대표는 스타트업 창업자 중엔 엔지니어 충신이 많은데, 제품과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만 몰두하다 보면 큰 그림을 보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고 설명했다.
시장을 바꿀 수 있다는 착각은 함부로 하면 안된다
주동원 대표는 시장은 따라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초기 창업가의 반은 자신이 서비스를 내놓으면 사람들이 쓸 것이라고 생각하다며 실제론 창업가가 소비자 마음에 맞춰가야 한다고 말했다.
창업 멤버에게 같은 권한을 주지마라
이대승 대표는 창업 멤버 모두에게 똑같은 권한을 주지 말라고 강조했다. 보통 공동 창업자들은 각자 잘할 수 있는 업무를 맡는다. 최고경영자(CEO), 최고기술책임자(CTO), 마케팅 담당, 영업 담당 등이다.
하지만 회사 업무비 지출, 인사 등 경계가 모호한 지점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2018년 블록체인 관련 회사를 창업했다가 실패한 경험에서 체득한 노하우다. 어느 날 모르는 사람이 사무실에서 일하는 것을 보고 확인해 보니 다른 공동 창업자가 채용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됐다. 이 대표는 인사 담당자 없이 운영진의 역할이 겹쳐서 발생한 낭비였다고 설명했다.
당장의 성과에 조급해 하지 마라
마켓컬리 김슬아 대표는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고 싶다는 마음에 서두르다가 실수하는 창업자가 많다고 말한다. 창업 초기엔 무엇 하나 뜻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초조함과 불안감을 느끼게 마련이라며 대표가 흔들리면 회사가 방향을 잃고 표휴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김대표 역시 창업 초기엔 힘든 시기를 보냈다. 회사의 더딘 성장을 보는 게 힘들었고 이런 속도로 내가 꿈꾸던 회사를 만들 수 있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무리한 시도를 한 경우도 있었다. 그는 당장의 극적인 결과물을 기대하기보다는 멀리 보고 자신을 차분하게 다스리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했다.
첫 아이템이 성공할 것이라고 섣불리 판단하지 마라
팀원들도 우리팀이 실패할 수도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사람으로 모으라고 했다. 홍주영 대표는 특정 아이템에 꽂혀서 팀원을 모았는데 그 아이템이 실패하면 퇴사자가 속출한다며 다양한 시도를 하고, 망한 뒤 다시 일어서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아는 사람들로 팀을 구성하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